이 책은 ASD를 가지고 있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방법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이 개입은 아동이 다른 사람에게 먼저 자발적으로 다가가서[개시(initiative)] 상호작용하는 경향성 그리고 타인과 함께 활동에 참여하는 능력을 늘려 주기 위한 것이다. 조기 자폐증 치료 덴버 모델(Early Start Denver Model: ESDM)이라고 불리는 이 개입방법은 아동의 관심과 성향을 따라간 다음, 아동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대한 ‘발판’을 제공한다.

   이 책은 전문가를 위한 책이지만 알기 쉽고 명료하게 기술되었다. ESDM보다 DTT는 부모가 집에서 훨씬 더 사용하기도 쉽고, 보기에도 더 자연스럽다. 그래서 이 책의 저자들은 부모가 일상에서 이런 기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이 바로 적절한 치료임을 강조하고 있다. 아이 보느라 치료실을 다니느라 다른 가족들 건사하느라 바쁜 부모들에게 치료까지 하라는 말로 오해하기 쉽지만 그런 것만은 아니다. 치료를 하라는 것이 아니고 생활 속에서 이 방법을 익혀 아이를 다루는 방식을 변화시키라는 얘기다. 쉽지 않겠지만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이미 부모들은 자녀들을 위해 엄청난 에너지와 시간을 쏟고 있다. 이 책은 효율적으로 그 에너지와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어떻게 부모를 교육할 것인지 친절히 가르쳐 준다.


✽역자 서문 

✽감사의 글 

✽저자 서문 



제1장 유아 학습과 자폐의 이해 현주소

●영아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뇌의 발달은 어떻게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습득을 도와주는가 

●자폐증이 뇌 발달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초기 아동기 및 그 이후의 뇌 변화

●자폐증의 초기 뇌 발달 및 예후에 관한 조기개입의 역할 



제2장 ESDM 개관

●ESDM의 이론적 기초 

●ESDM의 커리큘럼 

●ESDM의 교육절차

●효과성의 증거 

●ESDM과 다른 영유아 자폐증 개입방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결론 



제3장 ESDM 실시하기 

●실시 환경 

●누구에게 실시하나 

●누가 실시하나 

●ESDM 절차 

●제너럴리스트 모델 사용하기 

●다학제적 치료팀 

●가족과 협력하기 

●ESDM 개입 종결을 향해 가기

●결론 



제4장 단기 학습 목표 세우기 

●ESDM 커리큘럼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평가

●학습 목표 세우기 

●각 영역의 목표들 간의 균형 맞추기 

●얼마나 많은 목표를 세우나 

●기술 내용 선택하기 

●목표의 구성요소 

●기능적 목표 기술하기

●아이작의 12주 학습 목표



제5장 일일 학습 목표 만들기와 치료 경과 추적하기 

●각 목표별 학습 단계 계획하기

●경과 추적 

●요약 

✽부록 



제6장 계획 세우기와 학습 프레임

●놀이 파트너가 되는 과정 

●공동 활동 일과: 학습을 위한 틀 

●부적절한 행동 다루는 방법

●회기 준비 및 계획 세우기 

●아동의 수행에 진전이 없을 때: 의사 결정 트리 

●결론



제7장 모방과 놀이 발달 

●모방 가르치기 

●놀이 기술 가르치기 

●결론



제8장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발달

●주의협응은 의사소통의 근간이 된다 

●자연스러운 제스처 사용의 발달과 이해 

●관습적 제스처 사용 가르치기 

●결론 



제9장 언어적 의사소통의 발달

●언어 생성의 발달 자극하기

●수용 언어 

●결론



제10장 집단 환경에서 조기 자폐증 치료 ESDM을 사용하기

●교실 구조에서 자폐증의 특성들을 고려하는 것

●물리적 환경 구성 

●일상 계획과 일과 계획하기 

●통합적으로 계획하기 

●스태프 계획 및 의사소통

●소집단 및 대집단 지시사항

●교실 행동 관리 

●전환 및 개별 스케줄 체계 

●또래관계 및 자조기술에 대한 커리큘럼 

●유치원 전환

●결론



부록

A. ESDM 커리큘럼 체크리스트와 항목 설명 

B. ESDM 교수충실도 평가 시스템 



✽참고문헌 

✽찾아보기


<< 저자 >>

Sally J. Rogers, Ph. D.는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 있는 신경발달장애 전문 의료기관 M.I.N.D. Institute의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다. 그녀는 발달심리학자로서 국제적인 규모의 주요 임상 및 연구 활동에 다수 참여하고 있다. 그녀가 참여하는 활동 중에는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국립 아동 건강 및 인간 발달 협회(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의 후원으로 10개의 자폐증 관련 우수 연구 센터(Centers of Excellence)가 함께 추진하는 프로젝트도 포함되어 있다. 그 프로젝트는 영유아기 자폐증 치료에 대한 무선 통제 실험 연구로, 여러 지역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또한 그녀는 자폐증 연구자들을 위한 학제 간 박사 후 연구 과정 장학 재단의 단장도 맡고 있으며, 국제 자폐증 연구 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Autism Research)의 이사진이기도 하다. 자폐증 연구 학술지(Autism Research)의 편집장이며, DSM-5에서 자폐증 및 전반적 발달장애와 기타 발달장애의 작업그룹(work group) 멤버다. 


Geraldine Dawson, Ph. D.는 채플힐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의 정신건강의학과 연구 교수이며, 미국 자폐 연구 재단(Autism Speaks)의 회장직(Chief Science Officer)을 맡고 있다. 또한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의 명예 교수이자, 컬럼비아대학교(Columbia University) 정신건강의학과의 외래교수이기도 하다. 워싱턴대학교 심리학과 및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동 대학교 내 자폐증 센터(Autism Center)의 창립 이사를 역임했다. 이 센터는 1996년부터 국립 보건원의 자폐증 관련 우수 연구 센터로 지정된 바 있다. 그녀는 워싱턴대학교에 있는 동안 자폐증과 관련하여 유전학, 신경촬영법, 진단 및 치료에 초점을 맞춘 다학제적 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또한 1980년부터 2008년 워싱턴대학교를 떠나 Autism Speaks에 참여할 때까지 국립 보건원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연구 자금을 지원받았다. 그녀는 워싱턴대학교 자폐증 센터의 다학제적 임상 서비스 프로그램을 설립한 이사직을 맡기도 했는데, 그 프로그램은 미국 북서부 지역에 있는 유사 프로그램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 역자 >>

정경미

연세대학교 및 동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임상심리학 석사)

미국 하와이대학교 임상심리학 박사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부설 케네디크리거센터 박사후 과정

미국 면허심리학자(뉴욕 주) 및 미국 행동분석전문가(BCBA)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보건 임상심리사 1급

ESDM certified trainer

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신나영

연세대학교 및 동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임상심리학 석사)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 행동치료실 행동치료사

미국 행동분석전문가(BCBA)

현 한국ABA행동발달연구소 책임연구원


김민희

연세대학교 및 동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임상심리학 석사)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보건 임상심리사 1급

미국 행동분석전문가(BCBA)


김주희

연세대학교 및 동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임상심리학 석사)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보건 임상심리사 1급

현 마음사랑연구소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