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Alan Roland
역자 : 심은정
발행일 : 2012-10-15

페이지 : 424p
판형 : 신국판
제본 : 반양장
소개
현재 한국 사회는 문화적 이행기에 있다. 전통적 집단주의 문화와 서구적 개인주의 문화가 한 공간 안에서 복잡하게 상호 교류하고 있고, 다문화 인구도 점차 증가하면서 역동적인 문화적 변모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사람들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면에서도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다. 문화적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에는 북미를 중심으로 한 서구적 개인주의와 유교 문화에 기반을 둔 동양적 집단주의가 공존한다.
이제까지 한국에서 행해진 상담과 심리치료는 서양의 개인주의를 기반으로 한 이론과 기술을 답습하는 식이었다. 서양의 이론에 비추어 󰡒한국 사람은 이래서 문제야.󰡓라는 식의 발언도 쉽게 해 왔다. 최근에 와서야 다문화주의, 다문화가정, 다문화사회 등의 말이 상용되면서, 상담에서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려는 적극적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개인주의를 기반으로 한 심리학은 너와 나를 구분 지어야 하고, 자기표현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고, 개인의 행복이 집단의 안위보다 우선시되어야 하며, 모든 인간관계는 평등관계를 기초로 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래야 심리적으로 건강한 개인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식의 사고에서도 배울 점은 많다. 하지만 개인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심리학만을 고집하게 될 때 한국적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 중심의 사고, 장유유서의 미덕, 이심전심의 소통과 같은 한국적 심리학이 설 자리가 있는지 되짚어 봐야 한다.
상담자의 내면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는 문화의 영향을 발견하는 것은 타 문화에서 온 내담자를 만나기 위한 시작이기도 하다. 이 책은 주로 일본인과 인도인을 대상으로 한 정신분석을 논한다. 저자는 각 문화에 기반을 둔 심리학 및 정신분석을 설명한다. 그의 다문화 상담자적 태도와 노력은 진정한 한국적 다문화상담을 모색하는 상담자들에게 위안과 도전으로 다가올 것이다.

목차
part1 비교 정신분석

01 정신분석적 자기는 얼마나 보편적인가
자기에 대한 다양한 관점 / 서구 개인주의 문화의 근간 / 개인주의와 정신분석 / 개인주의에 대한 비판이자 옹호인 정신분석 / 정신분석과 타 문화 / 비교 정신분석학을 위한 제언 / 요 약

part 2 아시아와 북미의 접점

02 이중문화 사이에서 줄타기: 재미 인도인
서 론 / 심리적 적응 능력 / 서열관계의 심리사회적 차원 / 경험적 자기 / 인도계 미국인 2세의 이중문화적 자기 / 미국에서 인도인의 가족관계 / 인도의 영적 세계를 접한 미국인 / 요 약

03 일본과 미국의 접점
서 론 / 일본식 서열관계의 심리사회적 차원 / 기업 세계에서 일본인과 미국인의 만남 / 예술적 창의성 / 국제결혼 / 다문화가정에서의 자녀 양육 / 요 약

04 문화적 장애물과 불가해한 혼란 상태

part 3 상담 장면에서의 이슈

05 미국 분석가와 아시아 내담자 사이의 가치 문제
가치와 정상성/정신병리 / 가치와 역술 세계 / 가치와 지도 / 남성 우월주의와 우리 자존감 / 일본인의 가치와 정상성/정신병리 / 일본인의 초자아 / 일본인의 의사소통 / 미국적 관계에서 아시아인이 겪는 가치 부조화 / 요 약

06 문화적 자기, 개인적 자기 그리고 심리적 갈등
문화적 자기의 개념화 / 문화 간 만남 / 갈등 구별하기 / 전이에서의 문화적 자기 / 연속선의 중간 부분 / 자기의 민족적 층 쌓기 / 자기 내부의 민족성의 만남 / 사회역사적 외상 / 지역적 문화적 자기 / 여성과 사회적 변화 / 요 약

07 문화가 자기 및 자기대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와 북미의 비교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자기심리학 / 아시아 대인관계에서 존중감의 중추성 / 아시아 서열관계에서의 이상화 / 자기대상으로서 가족의 명성 / 자기대상 관계의 호혜성 / 공감적 조율의 방식 / 공감적 조율의 내용 / 아시아인의 우리 자존감의 문제점 / 아시아인의 전형적인 자기심리학적 문제 / 공동의 자녀 양육 / 요 약

08 재미 인도인과 재미 일본인에 대한 정신분석
정신분석적 관계 / 저 항 / 전 이 / 정신분석적 치료와 인도인의 미국 생활 / 요 약

09 성, 인도의 대가족 그리고 힌두 문화
서 론 / 근친상간적인 환상 / 인도의 오이디푸스 / 여성의 성 / 추동 이론과 인도인의 성격 / 영적 문화와 성 / 요 약

10 정신분석 및 정신분석적 치료에서의 영적 세계와 역술 세계
정신분석적 관점 / 정신분석적 치료에서 영적 세계 / 명상가/정신분석가 / 개별성, 정체성 그리고 영성 / 역술적 개인 운명과 정신분석적 치료 / 신화적 지향 / 요 약

11 인도의 조직관계에서 심리학적 세계 및 심리사회적 세계
아시아와 미국의 경영 이론 / 사례 예시 / 요 약

부록 1. 통찰 지향적 심리치료와 중국인 내담자
부록 2. 외국 상담 장면에서 만난 한국인
저자소개
Alan Roland
뉴욕과 아시아에서 인도인과 일본인을 주 대상으로 많은 정신분석적 상담을 해 온 정신분석학자로, 미국 정신분석심리학회 교수를 역임했다. 그의 다른 저서인 『인도와 일본의 자아를 찾아서 가는 심리학의 여행(In Search of Self in India and Japan: Toward a Cross-Cultural Psychology)』과 더불어 이 책은 다문화상담을 표방하는 정신분석가들 사이에서 필수 도서로 꼽힌다. 그 밖에도 고전적 정신분석과 아시아 문화의 관계에 대한 다수의 책을 집필하였다. Roland 박사는 미국인이면서도 아시아인에 대한 정신분석 전문가로 저명하며, 미국과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꾸준히 강연 및 상담 활동을 해 왔다.
역자소개
심은정
연세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상담심리를 전공했다. 그 후에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로즈미드 심리학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학생상담소, 삼성생명 공익재단연구소, 미국 캘리포니아 초등학교 상담소, 링컨 고등학교 상담소, 바이올라 대학 상담소, 어거스트호킨스 병원 정신건강센터, 센추리 지역 수감소, 미국 아시아 심리연구소, 브로드릭 정신요양원 등에서 다양한 내담자를 접하면서 풍부한 임상 경험을 쌓았다. 현재는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 상담교수 및 한국다문화상담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며, 다문화 관련 상담 및 연구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